오리지날 음악은 영화를 위해 작곡된 음악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언더스코어(Underscore)라고 부른다. 언더스코어는 각 장면에 따른 분위기의 표현 방식과 용도에 따라 아래과 같이 공포(Horror), 익살(Humorous), 초조함(Impatience), 기쁨과 행복(Joyfulness & Happiness), 자장가 분위기(Lullabies), 은밀하고 미스터리한(Misterioso), 단조로운(Monotony), Love Theme 등으로 표현된다. 러브테마(Love Theme)는 사랑의 장면 뿐 아니라 휴머니즘적 장면에서 등장하는 모든 언더스코어를 말한다.
Psycho - The Shower(Underscore)
Godfather 중 Le Parrain - Apollonia (Love Theme)
James Bond 007 Main Title Theme
The Bourne Ultimatum Ending Credits
- Mickey Mousing -
1928년 디즈니의 애니메이션 "증기선 윌리"에서 처음 도입되었으며 캐릭터의 움직임과 음악을 유기적으로 동기화해 음악을 전개시키는 영화음악 작법이다. 미키 마우스 캐릭터가 등장하는 곳에 사용되어서 미키 마우징이라고 부르며 주로 코믹한 장면, 역동적이고 슬랩스틱한 장면의 애니메이션과 영화 등에서 사용하며 영상의 분위기를 위한 작법인 언더스코어링(Underscoring) 기법에 속한다.
Mickey Mouse - Thru The Mirror
2. Source Music
영화를 위해 작곡된 음악이 아닌 기존곡을 삽입하는 것으로 BGM음악이라고도 한다. 영화속 배경에 깔리는 곡으로 등장인물들이 들을 수 있는 곡을 말한다.
Mark & Juliet Scene from Love Actually
3. Song
영화를 위한 노래곡으로 기존곡과 창작곡으로 분류한다. 메인 타이틀 테마와 엔딩 크레딧 테마 등 다양한 장면에서 사용된다. 노래곡의 경우 영화음악의 상업적 가치가 높아져 그 위치가 중요해졌다.
"접속" 삽입곡 Velvet Underground - Pale blue eyes, Sarah Vaughan - A Lover's concerto
뮤지컬 영화나 애니메이션 장르에서 사용되는 노래
Frozen - Let It Go
5. Montage
주제와 연관된 필름을 모아 하나의 연속물로 결합시키는 편집하여 보여주는 영화 장면으로 해당 음악이 깔린다. 예를 들면 영화 "록키"의 장기간의 훈련장면과 음악, 오션스11 과 같은 영화에서 범죄공모를 위한 준비과정을 보여주는 장면, 애니메이션 "Up"에서 두 주인공의 인생을 다양한 장면을 모아 보여주는 장면 등이다.
Rocky Balboa - Getting strong now
Pixar "Up" Married Life - Carl & Elli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