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lm Sound 3요소
1. Dialog
2. Music
3. Sound Effect (FX)
Film Music 기능
- 독립된 우위의 음악 (조성에 충실한)과는 본질적으로 중요한 차별성이 있다는 점을 명심할 것!
1. Film의 부가적 의미 전달
2. 관객의 체험영역 확대
3. 관객의 감각적, 정서적 자극 유발
4. 스토리의 사실성, 표현력 극대화
5. 스토리의 시간적 종속 상호작용
6. 카메라가 표현할 수 없는 내용의 전달
7. 배우의 내적 심리 표출
8. 스토리의 숨겨진 상황의 표출
9. 국가, 민족, 인종, 특정시대의 표현
10. 사회적, 문화적 배경과 분위기 표현
11. 관객의 의식을 종식시키는 기능
12. 스토리의 복선적 수법
13. 역설적 기법
14. 인물의 상징기능
출처 <한국필름스코어링학회>
영화음악은 크게 일반적인 기능과 특수 기능으로 나뉜다.
1. 일반적인 기능
영화음악의 기본적인 두 가지 기능은 구조적 리듬의 창조와 정서적 반응의 자극이며, 모두가 시각영상의 효과를 강화시키는 것이다.
① 미키 마우징 (Mickey Mousing) : 그 명칭이 동화기법에서 유래된 방법으로, 음악과 영상 내의 동작을 정확하게 결합시킨다. 음악의 리듬과 동작중인 대상물의 자연스러운 리듬이 한치의 오차도 없이 일치해야 하므로, 작곡가는 각 쇼트나 시퀀스를 치밀하게 분석해야 한다. 물론 정서적인 톤이나 분위기도 정확하게 동조되어야 하지만, 우선은 동작과 리듬의 일치에 강조점을 둔다.
(예 - 톰과제리, 디즈니 만화 등)
② 일반화 : 음악과 동작의 정확한 동조보다는 특정의 시퀀스나 영화 전체의 전반적인 정서적 분위기에 주안점을 둔다. 그러므로 이 기법은 종종 반복주제나 테마를 환기시키기 위해서 리듬이나 정서적 분위기를 변주시킨다. 요컨대 기본적인 리듬은 각각의 극적 국면에 맞도록 변형되지만 영화 전체를 위해서는 일관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예 - 냉정과열정사이, 러브레터 등)
2. 특수 기능
① 감추기 효과
② 극적 강화
③ 내면작용
④ 시공간의 상징
⑤ 사건의 예시
⑥ 새로운 의미의 창조
⑦ 성격화의 창조
⑧ 선입견의 활용
⑨ 이동음악
⑩ 자막과 영화음악
⑪ 음향효과와의 관계
⑫ 내적 독백의 표현
출처 <영화보기와 영화읽기, 제 3문학사 조셉 보그스 지음 이용관 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