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에서 영화음악 작곡가로 활동하고 있는 로빈 호프만의 홈페이지 글중에 유용한 글을 소개한다. 영어를 간략하게 번역 및 추가 정리하였습니다. 원본과 다를수 있습니다.
원문 : http://www.robin-hoffmann.com/tutorials/guide-to-working-with-a-film-composer/12-what-is-the-function-of-film-music/
영화음악의 기능은 무엇인가?
What is the function of film music?
1. Commenting(평가하기)
이 기능은 지나치기 사용해선 않됩니다. 음악은 특정한 장면에 대해 평가를 내릴수 있습니다. 전투장면에 영웅적인 음악을 .. 어떤 장면엔 슬픈음악으로.. 초기영화의 음악의 역할은 이것이 대부분이었습니다.
2. Illustrating movement(움직임에 대한 설명, 묘사하기)
오늘날 구식적인 방법이라 하지만 이것은 소위 "미키 마우징" 기법이라고 불리우는 방식으로 슬랩스틱이나 코믹한, 역동적인 장면을 강조하고 표현하기 위한 음악기법입니다. 장르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하면 좋은 효과를 얻는다.
3. Creating plot relationships(구성적 관계 만들기)
초기 오페라를 비롯해 많이 사용한 기법으로 소위 "Leitmotif" 영화의 특정인물, 사건이나 장소 등의 분위기에 음악적 모티브를 부여함으로 정체성을 드러낸다. 누구의 테마 ... 그러나 너무 많이 사용하면 좋지 않다.
4. Create atmosphere(분위기 만들기)
영화음악의 기능중 중요한 하나입니다. 음악으로 영화의 장면마다 혹은 전체 분위기를 형성해주는 것을 말합니다. (역자주: 장면마다 분위기를 음악으로 만들어주는데 장면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지만 전체적인 음악적 일관성을 줌으로 영화의 장르, 전체 분위기에 맞는 음악적 컨셉을 고려해야합니다.)
5. Portray Emotions(감정을 묘사하다)
이 기능 또한 중요합니다. 인물의 감정, 감정의 흐름의 초점을 맞추는 음악.
6. Social/Cultural/Geographic references(사회적, 문화적, 지리적 표현)
영화의 사회적, 문화적, 지리적 특징을 파악하여 음악으로 묘사합니다. (역자주: 아일랜드풍의 , 바로크 풍의 , 동양적인... 중동적인 ... 스케일이나 음악적 특징, 악기편성등을 주로 이용)
7. Time/Period references(시간, 기간을 나타내기)
6번과 비슷한 맥락으로 어느시대인지, 아침인지, 저녁인지 등에 따라 음악은 다르게 표현됩니다.
8. Connect scenes/montages(장면연결/몽타쥬)
음악은 장면의 전환에 대한 브릿지 역할을 해줍니다. 다소 급격한 장면전환을 완화시켜줍니다. 이것을 잘 활용하여 극대화 한것은 몽타쥬 기법의 음악입니다. 간격큰 시간, 장소 등의 장면들을 붙여 놓은 몽타쥬에서 음악은 하나의 덩어리로 만드는 역할입니다.
9. Manipulate(조종, 조작)
이 기능은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쉽게 인식하지 못하게 하면서도 자연스럽게 분위기나 인물의 성격을 이끄대로 따라가게 만듭니다. 오래전에 선동영화에서 주로 사용되었던 기능이기도하죠. 불분명한 성격의 인물의 착하게 묘사를 하다가 마지막에 악당으로 드러나는 반전을 묘사할때도 유용합니다.
10. Alternate the perception of time(시간의 인식을 변형하기)
음악의 빠르기에 따라 그 장면의 분위는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추격장면이나 역동적인 장면에서는 빠른 음악으로 표현하지만 반대로 느린음악을 사용하였을때 그 장면은 현실감없는 장면이 될수도 있고 지루한 장면이 될수도 있습니다. 장면에 맞는 적절한 빠르기의 음악편곡도 중요한 기능으로 작용합니다.
11. Imply a sense of space(장면의 공간감을 암시하다)
음악은 그 장면에 공간감을 드러내기도 합니다. 장소의 따라 적절한 악기편성이 중요합니다. (SF 영화의 우주나 물속 등에서 주로 암비언스 음악적 편곡을 하는 경우)
12. Create unreal situations(비현실적 상황 만들기)
악몽이나 충격적인 순간의 특징을 부여하거나 감각이 마비된것을 표현하는데 음악은 적격입니다. 음악을 사용하면 비현실적인 느낌이 더 부가됩니다. 음악은 등장 인물의 악몽이 휠씬 강렬한 인상을 주게 합니다.
13. Create contradictions(모순 만들기)
어떤 장면에 기대하는 음악적 분위기와는 다른 음악이 나온다면 보는 사람은 이상함, 이질감을 느낍니다. 중립적인 장면 분위기에 어둡고 불길한 음악이 나온다면 뭔가 앞으로 잘못된 일이 생기거나 현재 뭔가 뭔가 문제가 있다는 인상을 줄수 있습니다. (역자주 : 모순적인 음악 기능은 심각한 총격씬에서 그에 반하는 음악, 오버더레인보우 같은 곡이 흘려나올때 느끼는 효과도 포함된다.)
14. Parody(패러디)
음악은 심각하거나 웃기다고 생각하는 장면을 더 극대화 시킵니다. 예를 들면 악랄한 악당에게는 맞는 우스쾅스러운 행진곡 부여할수 있습니다. (역자주: 패러디는 어떤 대상에 대한 우스꽝 스러운, 풍자, 묘사 등을 말한다)
15. Physiological conditioning(생리적 조절)
음악은 인간의 기본적인 생리적 감정에 영향을 줄수 있습니다. 특히 공포나 스릴러 영화 등의 음악입니다. 악기 소리의 자극, 음의 높낮이, 볼륨의 다이나믹을 적절히 사용해서 장면의 변화를 통해 생리적 자극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16. Implying size relationships(크기 관계의 암시하기)
큰 도시안의 작은 꼬마를 표현하기 위한 저음역대의 편곡과 플루트로 각각의 규모에 따른 악기편성은 유용합니다. (역자주: 극적인, 거대한 장면엔 큰 소리의 , 저음역대의 악기로 표현되면 작고 , 귀여운 등장인물은 그에 맞는 플루트, 마림바 등의 악기와 고음역대 사용, 장난스러운 가벼운 경우에는 현의 피치카토 주법을 많이 이용한다. 미키 마우징 기법을 참고)
17. Psychologically uniting the audience(관객의 심리적 통합)
이 기능의 가장 확실한 예를 "국가" 를 사용하는 것이다. 음악은 어떤 장면에 널리 알려진 곡을 사용함으로서 그 장면을 보는 관객을 그 장면의 분위기와 동기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